비즈니스 매물 용어 설명
이 매뉴얼은 사업체 매물을 처음 접하는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,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설명합니다.
- 재무 관련 용어
EBITDA (이자·세금·감가상각 차감 전 영업이익)
설명: 회사가 실제 영업을 통해 벌어들이는 순수한 수익
왜 중요할까? 이익의 원천인 실제 영업 성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에, 사업 가치 평가에 가장 자주 사용됨
Net Income (순이익)
설명: 모든 비용(세금, 급여 등)을 제하고 남는 최종 이익
Gross Revenue (총매출)
설명: 아직 아무 비용도 빼기 전, 전체 매출액
Cash Flow (현금 흐름)
설명: 실제로 손에 들어오고 나가는 현금의 흐름
참고: 이익이 있어도 현금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중요한 지표임
SDE (Seller’s Discretionary Earnings, 판매자 재량 수익)
설명: 소규모 사업에서 주인이 가져간 급여, 차량비, 개인 보험 등을 포함한 총 수익
왜 중요할까? 실제 주인이 체감한 수익을 보여주는 지표
- 자산 및 장비 관련
FF&E (Furniture, Fixtures & Equipment)
설명: 책상, 의자, 기계, 주방설비 등 사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가구
왜 중요할까? 인수 시 포함 여부에 따라 추가비용이 생길 수 있음
Inventory (재고)
설명: 창고나 매장에 있는 판매용 물건이나 식자재
참고: 매물가에 포함되기도 하고, 별도 계산되기도 함
Leasehold Improvements (임대공간 개선비)
설명: 빌린 가게나 사무실 내부에 인테리어, 설비 설치 등으로 투자한 비용
참고: 건물은 내 소유가 아니지만, 내부 시설은 자산으로 인정됨
Goodwill (영업권 / 권리금)
설명: 장소, 고객층, 브랜드 가치 등 눈에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가치
- 거래 형태 및 계약 관련
Asset Sale (자산 매매)
설명: 회사 이름이나 법인은 그대로 두고, 장비상호·운영만 넘기는 거래
Stock Sale (지분 매매)
설명: 회사 자체를 통째로 사는 것 (법인, 계약, 부채 모두 포함)
Non-Compete Agreement (경쟁 금지 계약)
설명: 판매자가 일정 기간 같은 업종의 사업을 못하게 하는 약속
Training & Support (교육 및 인수 후 지원)
설명: 판매자가 사업 인수 후 일정 기간 운영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
- 기타
Key Money (권리금)
설명: 위치, 고객, 상권 등의 이유로 가게가 갖는 무형 가치에 대한 비용
Break-even Point (손익분기점)
설명: 벌어들이는 돈과 쓰는 돈이 같아지는 시점. 이 이후부터 수익 발생
Turnkey Business
설명: 인수 즉시 운영 가능한 사업체 (설비, 인력, 계약 등이 다 갖춰짐)
요약표
용어 | 쉬운 말 | 설명 요약 |
EBITDA | 순수 영업이익 | 실제 영업 성과만 반영된 수익 |
FF&E | 장비 및 설비 | 사업 운영에 필요한 장비 자산 |
Inventory | 재고 | 판매 또는 운영용 물품 |
SDE | 개인 수익 포함 영업이익 | 소규모 사업자가 실질적으로 가져간 총 수익 |
Asset Sale | 자산만 매매 | 법인 제외하고 운영권만 인수 |
Stock Sale | 회사 전체 인수 | 법인, 계약, 자산 전부 인수 |
Leasehold Improvements | 인테리어 투자 | 임대공간에 직접 투자한 설비 비용 |
Goodwill | 무형의 가치 | 고객, 상권, 브랜드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 |
Non-Compete | 경쟁 금지 약속 | 기존 운영자와의 경쟁 방지 계약 |
Training & Support | 인수 후 지원 | 기존 운영자의 운영 노하우 전수 |